반응형 Programming/C 언어9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cmd)로 C언어 컴파일하기 / Visual Studio 2017 많은 사람들이 처음 C언어를 배우고 공부할 때 Microsoft의 Visual Studio를 이용한다. 물론 Atom이나 Eclipse등 다른 소프트를 쓰는 사람도 굉장히 많지만, 편의와 C언어에 있어 VS만한 프로그램이 없기도 하다. 그런데 맥을 사용해 본 적이 있거나 유닉스를 접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윈도우에는 유닉스처럼 cmd를 이용한 컴파일은 할 수 없나?' 필자는 이것을 포인터를 이용할 때 처음 느꼈다. - 운영체제 목록 - 나무위키 윈도우 명령 프롬프트에서 컴파일을 할 수 없는 것은 당연히 컴파일 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반면 유닉스(유닉스 기반인 맥OS)에서는 컴파일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기본 터미널로 충분히 가능하다. 그럼 윈도우의 cmd를 이용해서 컴.. 2018. 7. 1. C언어 기초 2 - 출력하기 2 / 특수한 문자입력, 주석달기 저번 게시글에서는 C언어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구조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C언어의 기초 구성을 되짚어보면 #includeint main(){ //함수를 이곳에 추가 return 0;}with Visual Studio Code 초록 글씨로 되어 있는 곳에 함수를 추가하는 방식이다. 매 회 예제와 해답을 적고, 예제 풀이에 필요한 지식들을 해당 게시글에 정리 해 두겠다. 출력하기 2 # 무엇인가를 출력하려면 printf 함수를 사용하면 된다. - ex) printf(""); 큰 따옴표 사이에 입력하는것이 출력된다. # printf 함수 내에서 띄어쓰기는 평범하게 Space를 입력하면 된다. # 줄 바꾸기(엔터)를 사용하려면 '\n'을 이용하면 된다. - \은 글꼴에 따라 원 표시와 닮은 모양으로 표.. 2018. 5. 25. C언어 기초 1 - C언어 소개 및 출력하기 프로그래밍을 시작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배우는 C언어. 이 글에서는 C의 출력 함수를 다루도록 하겠다. - C언어 기초 시리즈 - C언어 기초 2 - 출력하기 2 / 특수한 문자입력, 주석달기 C언어란? C는 역사가 비교적 오래 된 프로그래밍 언어로, C에서 파생된 다른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C에 익숙해지기를 권장한다. C언어 기초 시리즈에서는 필수적인 코딩 요소들을 살펴 나가기로 하겠다. 기본적으로 C는 여러 '함수'를 응용하여 프로그램을 만든다. 가장 기본적인 C언어 코딩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includeint main(){ printf("Hello"); return 0;}by Visual Studio Code main이라고 쓰인 것은, 하나의 함수를 뜻한다. main함.. 2018. 5. 23. C언어 - 파스칼의 삼각형 Pascal's Triangle 파스칼의 삼각형 Pascal's triangle 파스칼의 삼각형이란 고등학교 수학시간에 배우는 이항계수를 삼각형 모양으로 나열한 것이다. 위 두개의 수의 합이 아래의 수가 된다는 것이 특징. 전개과정은 다음과 같다. 1. b[k] = a[k - 1] + a[k], k는 1부터 시작. (b[1] = 1로 만들기 위해) 2. n번째 줄이라면 배열의 길이는 n. 길이가 줄어드는 경우는 없으니 배열 b를 배열 a로 복사한 뒤에는 배열b를 초기화 시킬 필요가 없음. 이번 코딩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왼쪽에 공백을 입력한 상태이다. 자릿수는 4. 코드는 다음과 같다. #include#define MAX 100 //배열 크기 100 int main() { int a[MAX] = { 0, }; int b[MAX].. 2017. 9. 19. C언어 - 개미수열 읽고 말하기 수열, 일명 '개미수열'. 이번에는 개미수열 코딩을 알아가보도록 하겠다. 개미수열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에서 등장해 유명해진 수열이다. 우선 개미수열이 어떤 것인지 간단히 짚고 넘어가자. 전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a[i]를 b[j]에 복사한다. 2. a[i+1] = a[i] 이면 b[j+1] += 1, 아니라면 j+2로 넘어간다. 즉 결과물은 위와 같다. 11 1 : 첫번째 줄을 보면 1이 1개이다.1 2 : 두번째 줄을 보면 1이 2개이다.1 1 2 1 : 세번째 줄을 보면 1이 1개, 2가 1개이다.1 2 2 1 1 1 : 네번째 줄을 보면 1이 2개 2가 1개 1이 1개이다.... 이렇게 반복해 전개해 나간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조금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링크 .. 2017. 9. 18. C언어 - 마방진 C언어를 공부하다 보면 홀수 마방진에 대해 배운다. 마방진이란 무엇인가? - 1부터 n*n까지의 연속된 자연수를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같아지도록 정사각형 모양으로 배열한 것이다. C언어에서 이 마방진을 하는 것은 지나가는 과정에 불과하지만, 분명 알고리즘의 공부가 될 수 있다. 본 글에서는 홀수 마방진에 대해서 다루고자 한다. 마방진은 만드는 규칙은 다음과 같다. 1. 주어진 배열의 맨 윗줄의 가운데 칸에서 시작. 2. 현재 위치에서 우상(대각선 오른쪽 위) 방향으로 진행하며 1씩 증가하는 값을 넣는다. 3. 첫줄 다음은 마지막줄이며(행), 마지막줄 다음은 첫줄이다.(열) //행은 우리가 글을 읽을떄의 ~번째 줄과 같이 가로줄이라고 생각하면 외우기 쉽다. 4. 진행하는 방향에 값이 이미 있을 경우.. 2017. 9. 7. 이전 1 2 다음 반응형